-
[Blockchain] 화폐의 종류와 개념 그리고 암호화폐의 등장IT/개발 관련(DB, Git, Docker, Blockchain 등) 2019. 11. 17. 15:20
오늘부턴,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관련된 블로그를 차근차근 기록해보려 한다.
우선 화폐의 종류와 개념을 정리하였다.
전자화폐는 금융 기관이 보증하는 통장이나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 같은 형태의 화폐이다.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현금과 동일하게 법적으로 가치를 보장받는다.
가상화폐는 발행 주체가 정부나 금융 기관이 아닌 화폐이다.
게임에서 쓰이는 게임머니, 싸이월드의 도토리, 쇼핑몰의 포인트 등이 여기에 속한다.
지불한 돈만큼의 가치를 지니지만,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서비스 내에서만 쓸 수 있다.
화폐의 가치는 기업이 보증한다.
그렇기에 가상화폐는 대부분 실제 화폐로 현금화할 수 없다.
암호화폐는 설계 자체가 암호화 기술을 응용했다는 점에서 암호화폐라고 불리운다.
특정 기업이 가치를 보증하는 가상화폐와 달리, 암호화폐는 네트워크 참가자들의 합의가 가치를 보증한다.
또한 암호화폐는 거래소를 통해서 실제 화폐로 현금화가 가능하다.
암호화폐의 가격은 해당 암호화폐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동한다.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리플 등이 여기에 속한다.
그렇다면, 암호화폐가 등장한 배경은 무엇일까?
현금이나 전자화폐는 제3자(정부와 금융 기관)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한다.
비트코인의 창시자인 사토시 나카모토는 제3자의 개입 없이, 누구도 통제권을 갖지 않는 화폐 시스템을 만들고자 했다.
그렇다면 화폐가 위조 또는 복사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은행이 보증해주지 않는다면 어떻게 이 화폐를 믿을 수 있을까?
기존에 존재하던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이곳에 디지털 장부를 만들어서 은행의 기능을 대체하는 것이었다.
즉, 은행이 보증하는 신뢰를 블록체인이 보증하는 신뢰로 대체한다.
이 장부에 기록을 하면,
-> 장부에 한 번 쓰인 내용은 수정되거나 지워지지 않고, 영구적으로 저장된다.
-> 모든 사람은 이 장부의 사본을 가지고 있으며 언제든지 꺼내 볼 수 있다.
-> 모든 사람은 여기에 기록된 내용을 신뢰한다.
'IT > 개발 관련(DB, Git, Docker, Blockchain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INNER JOIN / LEFT JOIN / RIGHT JOIN (초간단 예제) (0) 2020.04.07 [MySQL] ERROR 1006 (HY000): Can't create database (errno: 2 "No such file or directory") (0) 2019.12.13 [MongoDB] 기초 개념 정리 (0) 2019.11.11 [Docker] Docker 개념과 실행해보기 (4) 2019.09.02 [Git] 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 / fatal: 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ories 에러가 났을 때 해결방법 (0) 2019.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