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HTTP 상태코드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24. 11. 25. 19:38
HTTP 상태코드
상태코드 설명 100~199 정보성 상태 코드 200~299 성공 상태 코드 300~399 리다이렉션 상태 코드 400~499 클라이언트 에러 상태 코드 500~599 서버 에러 상태 코드 200번대 성공 상태 코드
200 OK 요청이 성공
201 Created 요청이 성공, 새로운 자원이 생성됨
202 Accepted 요청을 잘 받았으나, 아직 요청한 작업이 끝나지 않음
204 No Content 요청이 성공했으나, 메시지 본문으로 표시할 데이터 없음
300번대 리다이렉션 상태 코드
리다이렉트란 이름 그대로 다시 향하다라는 뜻이다.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자원이 다른 곳에 있을 때, 요청을 다른 곳(URL이나 캐시)으로 이동시킨다.
요청한 자원이 다른 URL에 있을 경우, Location 헤더를 통해 자원이 위치한 URL을 안내해준다.
클라이언트는 이를 참고하여 재요청을 보내서 응답을 받는다.
400번대 클라이언트 에러 상태 코드
400 Bad Request 클라이언트 요청이 잘못됨
401 Unauthorized 요청한 자원에 대한 유효한 인증이 없음
403 Forbidden 요청이 서버에 의해 거부됨(예로 접근권한이 없는 경우)
404 Not Found 자원을 찾을 수 없음
405 Method Not Allowed 요청한 메서드를 지원하지 않음
인증은 '자신이 누구인지 증명하는 것'이고
권한 부여(인가)는 '인증된 주체에게 작업을 허용하는 것'이다.
500번대 서버 에러 상태 코드
500 Internal Server Error 요청 처리할 수 없음
502 Bad Gateway 중간 서버의 통신 오류
503 Service Unavailable 현재는 처리할 수 없으나 추후에 가능할 수 있음
'IT > 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캐시, 쿠키, 웹스토리지 개념 (0) 2024.11.25 [네트워크] HTTP 대표적인 헤더 (0) 2024.11.25 [네트워크] HTTP 메시지 구조 (0) 2024.11.25 [네트워크] 공인IP와 사설IP, NAT 개념, IP 주소 동적할당이란? (1) 2024.11.25 [네트워크] 포트 기반 NAT(NAPT), 포트포워딩이란? (0)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