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개발(자바, 서블릿, 스프링 등)
-
[Java] 자바 프로그램 실행과정(JDK / JRE / JVM)과 자바 메모리 구조의 이해IT/개발(자바, 서블릿, 스프링 등) 2019. 9. 22. 01:06
오늘은 굉장히 폭 넓은 이야기 주제를 가지고 왔다. 자바 애플리케이션 실행과정과 메모리 구조까지 설명을 하려고 한다. 평소에 굉장히 궁금해했던 부분이었는데, 드디어 공부를 하게 돼서 속이 후련하다 => 자 그럼, 자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과정의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프로그래밍을 할 때, 우리는 (Edit -> Compile -> Run) -> (Edit -> Compile -> Run) -> ... (Edit - Compile - Run) 사이클을 거친다. 나는 자바 개발자이므로 자바로 예를들어 각각의 과정을 설명하겠다. Edit 메모장에 자바 소스코드를 작성하는 것. Compile 컴파일러로 자바코드(.java)를 바이트코드(.class)로 해석하는 것. Run 바이트코드를 실행하는 것. 이러한 과정을..
-
[Design Pattern] 디자인 패턴은 무엇일까?IT/개발(자바, 서블릿, 스프링 등) 2019. 9. 20. 20:11
디자인 패턴이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설계를 할 때 자주 발생하는 문제들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턴. 일반 프로그래머가 만나는 문제가 지구상에서 유일한 문제일 확률은 거의 없다.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부딪힌 문제다. 따라서 전문가들이 기존에 해결책을 다 마련해 놓았다. - 나무위키에서 디자인 패턴 정의 참고 - 위의 사진은 잘 알다시피 어릴 때 자주 가지고 놀던 모양자이다. 오늘 눈사람 그림을 그리고 싶다? 그럼 위의 모양자에서 작은 동그라미와 큰 동그라미를 이용해서 눈사람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 아무리 똥손인 사람이어도 눈사람을 잘 그릴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밍을 할 때도 참고할 수 있는 틀이 있다면 어떨까? 개발 실력 업그레이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당장 사용할 수 없더라..
-
기술 블로그를 시작한 이유IT/개발(자바, 서블릿, 스프링 등) 2019. 9. 2. 14:35
기술 블로그를 시작한 이유는 대충 알고 넘기는 습관을 없애기 위해서다. 비개발자 직군 동료들이 나에게 질문을 했을 때 그들에게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 하고 대충 알고 있는 내 모습을 한 번, 두 번, 여러 번 바라보다가 매번 이렇게 살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남들에게 보여진다고 생각이 드니까 읽은 글을 또 읽고 또 읽으며 시간을 많이 쓰게 되지만.. 그만큼 남에게 설명할 수 있을만큼 알게 된다는 거니까. 많이 부족한 개발&글솜씨를 가졌지만 차츰차츰 블로그를 기록하려고 한다.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