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네트워크에서 메시지가 전달되는 과정과 네트워크 성능 평가 지표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24. 11. 19. 17:57
프로토콜은 노드 간 정보를 올바르게 주고받기 위한 약속이다.
서로 다른 통신 장치가 정보를 주고받으려면 프로토콜이 동일해야 한다.
프로토콜은 저마다의 임무가 정해져 있다.
IP 는 패킷을 수신지까지 올바르게 전달한다.(패킷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페이로드와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헤더로 구성된다.)
APR 프로토콜은 IP 주소를 MAC 주소로 대응한다.
HTTP은 html 문서를 전송한다.
HTTPS는 보안상 더 안전한(인증이 추가된) 프로토콜이다.
TCP는 UDP보다 신뢰성이 높은 프로토콜이다.
TCP/IP 모델 네트워크 참조 모델 TCP/IP 모델 네트워크 참조 모델 각 계층마다 메시지의 단위(PDU)가 다르다. 상위 계층으로부터 내려받은 패킷을 페이로드 삼아 프로토콜에 맞는 헤더 혹은 트레일러를 덧붙이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이 캡슐화 네트워크 트래픽이란 네트워크 내의 정보량이다.
특정 노드에 트래픽이 몰리면 과부하가 생기며 성능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네트워크 성능은 처리율,대역폭,패킷손실로 평가할 수 있다.
- 처리율(throughput)은 단위 시간당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량(bps=bit/s, Mbps=Mbit/s, Gbps=Gbit/s)이거나 초당 패킷 수를 표현(pps=p/s)이다. 특정 노드가 얼마만큼의 트래픽을 처리하는 중인지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어 매 순간 변하는 모습으로 표현되거나 평균값이 주로 활용된다.
- 대역폭(bandwidth)은 단위 시간 동안 통신 매체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최대 정보량을 말한다. 대역폭이 높으면 많은 정보를 송수신할 능력이 있다는 뜻이다.
- 패킷손실은 송수신되는 패킷이 손실된 상황이다. 높은 트래픽으로 발생할 수 있고, 유실된 패킷을 백분위로 표현한다. 우리가 흔히 아는 것처럼 패킷손실은 명령프롬프트(CMD)에서 ping 명령어를 입력하고 ctrl+c를 눌러 실행을 멈추면 확인할 수 있다.
'IT > 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IP주소 클래스풀 주소체계란? (0) 2024.11.21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의 개념(라우터, IP, ARP) (0) 2024.11.20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본 구성요소와 네트워크 규모의 분류 (0) 2024.11.13 [운영체제] 스레드의 종류(하드웨어 스레드, 커널 스레드, 유저 스레드) (1) 2024.11.12 [IT기초] 비트와 바이트, 문자 인코딩 개념 정리 (0) 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