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의 개념(라우터, IP, ARP)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24. 11. 20. 22:51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IP 주소를 이용해 송수신지 대상을 지정한다.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론 LAN 통신이 가능하지만,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야만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다.
IP 주소는 논리 주소라고 불리고, 호스트에 직접 할당이 가능하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라는 프로토콜로 자동으로 할당받거나,
사용자가 직접 할당하거나,
한 호스트가 복수의 IP를 가질 수도 있다.
라우팅을 통해 패킷이 이동할 최적의 경로를 결정한다.
라우팅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장비는 라우터이다.
네트워크 계층의 핵심 프로토콜은 IP(Internet Protocol)다.
버전이 IPv4(일반적인 IP), IPv6가 있다.
IP 주소는 4바이트로 주소를 표현하고, 4개의 10진수로 표기된다.
각 10진수는 점으로 구분된다.
EX) 192.168.1.1
다음으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IP주소를 통해 MAC 주소를 알아내는 프로토콜이다.
ARP는 동일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트의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트에게 패킷을 보내야 할 경우,
네트워크 외부로 나가기 위한 장비(라우터)의 MAC 주소를 알아내어 패킷을 전송한다.
MAC 주소는 물리 주소라고 불리고, NIC마다 할당되는 고정된 주소다.
'IT > 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 서브넷마스크 개념, CIDR 표기법 (0) 2024.11.24 [네트워크] IP주소 클래스풀 주소체계란? (0) 2024.11.21 [네트워크] 네트워크에서 메시지가 전달되는 과정과 네트워크 성능 평가 지표 (0) 2024.11.19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본 구성요소와 네트워크 규모의 분류 (0) 2024.11.13 [운영체제] 스레드의 종류(하드웨어 스레드, 커널 스레드, 유저 스레드) (1) 2024.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