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 서브넷마스크 개념, CIDR 표기법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24. 11. 24. 13:40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에서는 네트워크와 호스트를 구분 짓는 수단으로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한다.
서브넷 마스크란 IP 주소상에서 네트워크 주소는 1, 호스트 주소는 0으로 표기한 비트열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내의 부분적인 네트워크(서브네트워크 subnetwork)를 구분 짓는(마스크 mask) 비트열이다.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해 클래스를 원하는 크기로 쪼개어 사용하는 것을 서브네팅이라고 한다.
이렇게만 봤을 때 무슨말인지 이해가 안가지만, 포기하지 말자. 알고보면 별거 아니다.
클래스풀 주소 체계에서는 네트워크 주소는 각각 8, 16, 24비트로 이루어져 있고,
서브넷마스크는 아래와 같다.
A 클래스: 255.0.0.0( 11111111.00000000.00000000.00000000 )
B 클래스: 255.255.0.0( 11111111.11111111.00000000.00000000 )
C 클래스: 255.255.255.0(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서브네팅
네트워크와 호스트를 구분 짓는 방법은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비트 AND 연산한다.
10진수 2진수 IP주소 192.168.219.103 11000000.10101000.11011011.01100111 서브넷마스크 255.255.255.0 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 비트 AND 연산
네트워크 주소192.168.219.0 11000000.10101000.11011011.00000000 서브넷 마스크에서 0이 8개이므로 호스트 주소는 8비트로 표현 가능하다.
192.168.219.0은 네트워크 주소이고,
192.168.219.255은 브로드캐스트 주소이므로
192.168.219.1~ 192.168.219.254 즉 254개 사용이 가능하다.
이처럼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는 클래스가 아니라 서브넷 마스크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한다.
서브넷 마스크 CIDR 표기법
서브넷 마스크를 표기할 때,
10진수 직접 표기(255.255.255.252)도 가능하고,
CIDR(IP주소/서브넷 마스크상의 1의 개수)로 표기도 가능하다.
위의 표로 예를들어, IP 주소가 192.168.219.103이고, 서브넷마스크가 255.255.255.0라면,
1이 24개이므로!
192.168.219.103/24로 표기한다.
'IT > 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포트 기반 NAT(NAPT), 포트포워딩이란? (0) 2024.11.24 [네트워크] 전송 계층의 역할과 포트 번호에 대하여 (0) 2024.11.24 [네트워크] IP주소 클래스풀 주소체계란? (0) 2024.11.21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의 개념(라우터, IP, ARP) (0) 2024.11.20 [네트워크] 네트워크에서 메시지가 전달되는 과정과 네트워크 성능 평가 지표 (0) 2024.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