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전송 계층의 역할과 포트 번호에 대하여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24. 11. 24. 14:55
IP의 한계
IP는 신뢰할 수 없는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이다.
최선형 전달로 '최선을 다하지만, 전송 결과가 어떻든 보장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IP는 패킷을 빠르게 송수신한다.
동영상 스트리밍이나 실시간 영상 통화는 한두개의 패킷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빠른 전송이 중요하다.
참고
IP 의 신뢰할 수 없고 비연결형 전송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도우미가 있다.(그렇지만 여전히 비연결, 비신뢰)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가 있다.
ICMP 메시지 종류는 전송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 보고와 네트워크 진단 정보가 있다.
경로를 확인하고자 사용하는 traceroute 또는 tracert 명령어와
네트워크 상태를 진단하는 ping 명령어는 ICMP 기반의 에코 요청과 응답 메시지를 기반으로 구현된다.
전송 계층의 역할
전송 계층은 신뢰할 수 있는 통신과 연결형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전송계층은 TCP를 통해서 패킷이 올바른 순서대로 확실히 전달되는 것을 보장한다.
전송계층에서도 빠른 통신이 필요할 때, UDP를 통해 신뢰할 수 없는 통신, 비연결형 통신을 한다.
그리고 전송 계층은 포트 번호를 통해 응용 계층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를 PID로 식별한다.
같은 프로그램일지라도 여러번 실행하면 각기 다른 PID로 실행된다.
응용 계층과 연결, 포트 번호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해 포트번호로 식별한다.
포트번호는 16비트로 표현 가능하다.
0~65535번까지 65536개다.
포트 종류 포트 번호 범위 잘 알려진 포트 0~1023 등록된 포트 1024~49151 동적 포트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는 프로그램 )49152~65535 잘 알려진 포트 번호 설명 20, 21 FTP 22 SSH 23 TELNET 53 DNS 67, 68 DHCP 80 HTTP 443 HTTPS 등록된 포트 설명 1194 OpenVPN 1433 Microsoft SQL Server 데이터베이스 3306 MySQL 데이터베이스 6379 Rdeis 8080 HTTP 대체 'IT > 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공인IP와 사설IP, NAT 개념, IP 주소 동적할당이란? (1) 2024.11.25 [네트워크] 포트 기반 NAT(NAPT), 포트포워딩이란? (0) 2024.11.24 [네트워크]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 서브넷마스크 개념, CIDR 표기법 (0) 2024.11.24 [네트워크] IP주소 클래스풀 주소체계란? (0) 2024.11.21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의 개념(라우터, IP, ARP) (0) 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