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포트 기반 NAT(NAPT), 포트포워딩이란?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24. 11. 24. 15:24
NAT란 네트워크 내부에서 사용되는 사설 IP 주소와 네트워크 외부에서 사용되는 공인 IP 주소를 변환한다.
NAT 변환 테이블을 이용한다.
포트 기반 NAT, NAPT(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
NAT 테이블에 변환할 IP 주소 쌍과 더불어 포트 번호도 함께 기록하여
공인 IP 주소가 같더라도 포트 번호가 다르면
네트워크 내부의 호스트를 특정할 수 있어서
하나의 외부 주소로 다수의 내부 주소를 관리할 수 있다.
포트 포워딩
외부에서 통신을 시작할 호스트에게 접속 정보(IP 주소:포트 번호 쌍)을 알려준다.
네트워크 외부에서 내부로 통신을 시작할 때, 접속 정보를 공개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러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공유하고 있는 경우데 사용할 수 있다.
'IT > 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HTTP 메시지 구조 (0) 2024.11.25 [네트워크] 공인IP와 사설IP, NAT 개념, IP 주소 동적할당이란? (1) 2024.11.25 [네트워크] 전송 계층의 역할과 포트 번호에 대하여 (0) 2024.11.24 [네트워크]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 서브넷마스크 개념, CIDR 표기법 (0) 2024.11.24 [네트워크] IP주소 클래스풀 주소체계란? (0)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