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
[Mac OS] Mac에서 Homebrew 사용하기(Command Line Tools 설치)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19. 12. 4. 17:14
mac OS 커맨드 라인에서 개발을 하려면 명령어 라인 도구(Command Line Tools)를 설치해야 한다. 이를위해 Xcode나 Xcode command line tools을 설치한다. Xcode는 애플스토어에 다운로드 가능하고, command line tools는 터미널을 열어 'xcode-select --install' 입력하면 다운 가능하다. 설치를 완료했다면, mac의 패키지 관리자인 Homebrew를 설치할 수 있다. 맥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설치, 삭제, 의존성 관리 등이 가능하게 해주어 개발자들에겐 필수 프로그램이다! Homebrew 설치는 여기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Homebrew 설치를 완료하였다면 아래에 간단한 사용법을 정리해놨다. Homebrew는 깃과 루비 기반. Hom..
-
[Linux] nohup 명령어 개념과 사용법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19. 12. 2. 13:55
사용법 nohup [명령] & 정의 HUP(hang up) 신호는 터미널이 의존 프로세스들에게 로그아웃을 알리는 방식. nohup은 HUP 신호를 무시하도록 하는 명령어. &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작업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즉,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사용. 터미널로 향하는 출력은 별도로 넘겨주기 처리를 하지 않을 때, nohup.out이라는 이름의 파일로 출력. 예시 1. nohup 명령어로 echo hello 명령을 백그라운드에서 수행. (자동으로 nohup.out 파일에 출력. 파일이 없다면 생성.) : nohup echo hello & 2. nohup 명령어로 echo hello 명령을 백그라운드에서 수행. (test.txt 파일에 출력.) : nohup echo hel..
-
[Linux] 포트상태확인(netstat, nc, ss) / 프로세스확인(ps) / pid로port찾기(lsof)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19. 11. 26. 17:23
1. 포트 상태 확인 (netstat 명령어) 1-1. 열려있는 모든 포트 확인 netstat -nap 1-2. LISTEN중인 포트 확인 netstat -nap | grep LISTEN 1-3. 특정 포트번호가 열려있는지 확인 netstat -nap | grep 포트번호 -a : 모든 소켓 표시 -t : TCP 만 표시 -u: UDP 만 표시 -n: 호스트, 포트 번호 등의 이름 확인을 하지 않고 숫자로 표시 -p: 소켓을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의 ID 표시 -r: 라우팅 테이블 표시 -l : 연결 대기 상태인 소켓만 표시 2. netstat보다 ss를 더 권장. ss -ltp -l: 모든 리슨하는 포트를 표시 -r: IP대신 이름으로 표시 -t: TCP 소켓만 표시 -u: UDP 소켓만 표시 -x: ..
-
[Linux] 텍스트 편집기 vi / 파일 내용 읽기 cat, more, less, head, tail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19. 11. 22. 10:26
리눅스/유닉스 환경에서 파일 내용 확인하기. vi는 텍스트 편집기이므로 파일 편집할 땐 vi 파일 전체 내용 확인할 땐 less 간단하게 짧은 문서 출력하려면 cat 문서의 윗부분이나 아랫부분 확인할 땐 head / tail 실시간으로 추가되는 파일 내용 확인할 땐 tail -f cat more less head tail 개념 간단한 파일 전체 내용 화면에 출력. 위에서 아래로 파일 읽기. 위에서 아래, 아래에서 위로 파일 읽기. 문서의 윗 부분을 출력. 디폴트는 10줄. 문서의 아랫 부분을 출력. 디폴트는 10줄. f 옵션 사용시 파일 내용 실시간 감시 가능. 사용예시 파일1과 파일2를 연결하여 출력. cat [파일1] [파일2] more [파일이름] 아래에서 위로 파일 읽기. less +G [파일이름..
-
[IT 기초] 윈도우 10 고정 IP 설정, 원격 데스크톱 가능하게 설정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19. 11. 20. 15:40
공유기를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하거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의 모뎀에서 나오는 랜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에 DHCP 서버에서 IP를 자동으로 할당해준다. 하지만, PC를 서버로 활용하거나 사내에서 각 PC마다 IP가 지정되어야 할 경우, 수동으로 네트워크 어댑터에 IP에 입력해서 사용한다. 고정 IP를 할당하여 사용한다. 고정 IP를 할당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제어판 -> 보기 기준 -> 작은 아이콘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어댑터 설정 변경 -> 이더넷 우클릭 -> 속성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4(TCP/IPv4) 더블 클릭 or 선택 후 속성 버튼 클릭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입력 IP를 고정한 후, 원격에서 Windows PC에 접..
-
[Linux] 리눅스에서 파일 찾기, 파일 속 문자열 찾기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19. 11. 19. 17:52
* 리눅스 파일명으로 검색 사용법 find [찾을위치] -name [파일명] 예시 usr 폴더부터 하위로 test로 시작하는 파일 찾기. find /usr/ -name 'test*' * 리눅스 파일 내부 문자열 검색 사용법 grep -r [찾을 문자열] [대상파일들] 예시 ex)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nohup.out 파일에서 test 문자열 찾기. grep -r 'test' ./nohup.out 예시 예) var 폴더부터 하위 모든 파일내부에서 mysql이라는 문자열 찾기. include 옵션으로 특정 확장자에서만 검색도 가능. grep -r 'mysql' /var/* [--include '*.conf']
-
[IT 기초] 인터넷 속도 단위(Mbps / MB)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19. 11. 15. 14:32
bit는 소문자 b로 표현하고, byte는 대문자 B로 표현한다. 인터넷 속도 단위는 Mbps(Mega Bits Per Second) 1초당 전송하는 Mega Bit다. 예로, 인터넷 속도가 100Mbps라고 하면, 1초에 100 Mega Bits를 전송한다. 파일 크기의 단위는 Byte 단위다. 예로, 10MB 크기의 파일은 10 Mega Byte 크기이다. 인터넷 속도(Mbps)를 8로 나누어야 파일 크기(MB)가 된다.(8bits = 1byte이기 때문.) 따라서, 인터넷 속도가 100Mbps라면 1초에 전송할 수 있는 파일의 크기는 100/8=12.5MB가 된다. 이는 인터넷 환경이 최상일 때의 속도이고, 인터넷 회선 상태, 공유기나 랜카드의 성능, HDD의 속도 등에 따라서 전송 속도가 달라진다..
-
[IT 기초] 데이터 크기 단위(bit, byte, ..) / 데이터 표현 방법(아스키코드, 유니코드 / 인코딩 방식 UTF-8 / 2진수, 8진수, 16진수)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19. 11. 6. 14:48
우리가 방의 크기를 26평이라고 표현하듯, 컴퓨터에서 데이터 크기를 표현하는 단위가 존재한다. 이는 아래 표와 같다. 8 bits 1 BYTE 1024 bytes 1 KB 1024 KB 1 MB 1024 MB 1 GB 1024 GB 1 TB 1024 TB 1 PB 비트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이다. 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0과 1의 조합으로 구성하여 저장한다. 이 0 또는 1이 하나의 비트가 된다. 1개의 비트는 0 또는 1의 두 가지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n개의 비트로는 2ⁿ가지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로, 2비트로는 00, 01, 10, 11 4가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위에 나와있듯 8비트가 모이면 1바이트가 된다. 컴퓨터 메모리에서 1바이트 당 하나의 주소값이 할당된다. 1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