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
[네트워크] 포트 기반 NAT(NAPT), 포트포워딩이란?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24. 11. 24. 15:24
NAT란 네트워크 내부에서 사용되는 사설 IP 주소와 네트워크 외부에서 사용되는 공인 IP 주소를 변환한다.NAT 변환 테이블을 이용한다. 포트 기반 NAT, NAPT(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NAT 테이블에 변환할 IP 주소 쌍과 더불어 포트 번호도 함께 기록하여공인 IP 주소가 같더라도 포트 번호가 다르면네트워크 내부의 호스트를 특정할 수 있어서하나의 외부 주소로 다수의 내부 주소를 관리할 수 있다. 포트 포워딩외부에서 통신을 시작할 호스트에게 접속 정보(IP 주소:포트 번호 쌍)을 알려준다.네트워크 외부에서 내부로 통신을 시작할 때, 접속 정보를 공개하기 위해 사용된다.여러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공유하고 있는 경우데 사용할 수 있다.
-
[네트워크] 전송 계층의 역할과 포트 번호에 대하여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24. 11. 24. 14:55
IP의 한계IP는 신뢰할 수 없는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이다.최선형 전달로 '최선을 다하지만, 전송 결과가 어떻든 보장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IP는 패킷을 빠르게 송수신한다.동영상 스트리밍이나 실시간 영상 통화는 한두개의 패킷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빠른 전송이 중요하다. 참고IP 의 신뢰할 수 없고 비연결형 전송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도우미가 있다.(그렇지만 여전히 비연결, 비신뢰)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가 있다.ICMP 메시지 종류는 전송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 보고와 네트워크 진단 정보가 있다. 경로를 확인하고자 사용하는 traceroute 또는 tracert 명령어와네트워크 상태를 진단하는 ping 명령어는 ICMP 기반의 에코..
-
[네트워크]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 서브넷마스크 개념, CIDR 표기법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24. 11. 24. 13:40
클래스리스 주소 체계에서는 네트워크와 호스트를 구분 짓는 수단으로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한다.서브넷 마스크란 IP 주소상에서 네트워크 주소는 1, 호스트 주소는 0으로 표기한 비트열을 의미한다.네트워크 내의 부분적인 네트워크(서브네트워크 subnetwork)를 구분 짓는(마스크 mask) 비트열이다.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해 클래스를 원하는 크기로 쪼개어 사용하는 것을 서브네팅이라고 한다. 이렇게만 봤을 때 무슨말인지 이해가 안가지만, 포기하지 말자. 알고보면 별거 아니다. 클래스풀 주소 체계에서는 네트워크 주소는 각각 8, 16, 24비트로 이루어져 있고,서브넷마스크는 아래와 같다. A 클래스: 255.0.0.0( 11111111.00000000.00000000.00000000 )B 클래스: 255.255...
-
[네트워크] IP주소 클래스풀 주소체계란?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24. 11. 21. 23:24
하나의 IP 주소는 크게 네트워크 주소(네트워크를 식별)와 호스트 주소(호스트를 식별)로 이루어진다.클래스는 필요한 호스트 IP 개수에 따라 네트워크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정한다.클래스를 기반으로 IP 주소를 관리하는 것을 클래스풀 주소체계라고 한다. 클래스풀 주소 체계에서는 네트워크 주소는 각각 8, 16, 24비트로 이루어져 있다.A 클래스: 255.0.0.0( 11111111.00000000.00000000.00000000 )B 클래스: 255.255.0.0( 11111111.11111111.00000000.00000000 )C 클래스: 255.255.255.0(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이 중에서, 호스트 주소가 전부 0인 IP 주소는 해당 네트워크 자체..
-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의 개념(라우터, IP, ARP)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24. 11. 20. 22:51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IP 주소를 이용해 송수신지 대상을 지정한다.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론 LAN 통신이 가능하지만,네트워크 계층을 통해야만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다. IP 주소는 논리 주소라고 불리고, 호스트에 직접 할당이 가능하다.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라는 프로토콜로 자동으로 할당받거나,사용자가 직접 할당하거나,한 호스트가 복수의 IP를 가질 수도 있다. 라우팅을 통해 패킷이 이동할 최적의 경로를 결정한다.라우팅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장비는 라우터이다. 네트워크 계층의 핵심 프로토콜은 IP(Internet Protocol)다.버전이 IPv4(일반적인 IP), IPv6가 있다. IP 주소는 4바이트로 주소를 표현하고, 4개의 10진수로 표..
-
[네트워크] 네트워크에서 메시지가 전달되는 과정과 네트워크 성능 평가 지표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24. 11. 19. 17:57
프로토콜은 노드 간 정보를 올바르게 주고받기 위한 약속이다.서로 다른 통신 장치가 정보를 주고받으려면 프로토콜이 동일해야 한다.프로토콜은 저마다의 임무가 정해져 있다. IP 는 패킷을 수신지까지 올바르게 전달한다.(패킷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페이로드와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헤더로 구성된다.)APR 프로토콜은 IP 주소를 MAC 주소로 대응한다.HTTP은 html 문서를 전송한다.HTTPS는 보안상 더 안전한(인증이 추가된) 프로토콜이다. TCP는 UDP보다 신뢰성이 높은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 트래픽이란 네트워크 내의 정보량이다.특정 노드에 트래픽이 몰리면 과부하가 생기며 성능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네트워크 성능은 처리율,대역폭,패킷손실로 평가할 수 있다. 처리율(throughput)은 단위 시간당 네..
-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본 구성요소와 네트워크 규모의 분류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24. 11. 13. 17:11
네트워크란 여러 장치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연결망, 통신망이다.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는 아래와 같다. 노드: 장치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링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매체 노드 간 주고받는 메시지 웹 페이지, 파일, 메일 등이 될 수 있다. 호스트( end system ): 네트워크 가장자리에 위치한 노드 서버: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 클라이언트: 어떠한 서비를 요청 네트워크 장비: 중간 노드 이더넷 허브, 스위치, 라우터, 공유기 등으로 호스트 간에 정보를 전송한 위의 요소들이 모여 형성된 네트워크의 범위는일반 가정이 될 수도 있고, 기업이 될 수도 있고, 도시나 국가가 될 수도 있다.네트워크의 범위에 따라..
-
[운영체제] 스레드의 종류(하드웨어 스레드, 커널 스레드, 유저 스레드)IT/IT 기초(IT기사, 알고리즘, Linux 등) 2024. 11. 12. 20:07
스레드 개념이 헷깔려서 유튜버 쉬운코드님 영상을 참고하여 정리하는데,관련 기초용어 설명도 덧붙였다. 하드웨어 스레드 CPU(중앙처리장치)의 코어는 명령을 실행하는 CPU 내의 단일 처리 장치다.CPU에 코어가 많을수록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작업이 많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코어는 하나의 스레드를 실행한다.코어가 연산을 쉬는 경우(메모리의 RW 작업을 대기할 때)가 발생할 때코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SMT(Simultaneous Multi Threading, AMD) 또는 HT(Hyper Threading,인텔) 기술을 이용한다.가상의 스레드라는 개념으로 1 Core에 2 Thread로 구성이 된다.OS 관점에서 본다면 가상의 코어(논리적 코어)라고 할 수 있다.물리적으로 듀얼코어라도 OS가 인식할 ..